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{
int a = 10, b = 12;
printf("a & b :%d\n", a & b);
printf("a ^ b : %d\n", a ^ b);
printf("a | b : %d\n", a | b);
printf("~a : %d\n", ~a);
printf("a <<1 : %d\n", a<<2);
printf("a >> 2 :%d\n", a>>2);
return 0;
}
코드 설명
1. main() 함수
1-1. 정수형 변수 a와 b를 선언하고 각각 10과 12의 값을 할당
1-2. 비트 AND 연산자 `&`를 사용하여 a와 b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두 정수의 각 비트 위치를 비교하여 둘 다 1이면 1을, 아니면 0을 반환함
1-3. 비트 XOR 연산자 `^`를 사용하여 a와 b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두 정수의 각 비트가 다르면 1을, 같으면 0을 반환함
1-4. 비트 OR 연산자 `|`를 사용하여 a와 b의 비트 연산을 수행하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두 정수의 각 비트 위치를 비교하여 하나라도 1이면 1을, 둘 다 0이면 0을 반환함
1-5. 비트 NOT 연산자 `~`를 사용하여 a의 비트를 반전시키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정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킴 (1은 0으로, 0은 1로)
1-6. 비트 왼쪽 시프트 연산자 `<<`를 사용하여 a의 비트를 왼쪽으로 2칸 이동시키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정수의 비트를 왼쪽으로 지정된 수만큼 이동시키고, 새로운 비트는 0으로 채워짐
1-7. 비트 오른쪽 시프트 연산자 `>>`를 사용하여 a의 비트를 오른쪽으로 2칸 이동시키고, 그 결과를 출력. 이 연산은 정수의 비트를 오른쪽으로 지정된 수만큼 이동시키며, 새로운 비트는 부호 비트로 채워지거나 0으로 채워짐 (부호 있는 정수에 따라 다름)
2. 반환문 (return) 작성 ->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0을 반환
'개념 > 혼자 공부하는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4) 복합 대입 연산자 (0) | 2024.06.20 |
---|---|
chapter 4) 연산의 결과값을 사용하는 방법 (0) | 2024.06.19 |
chapter 4) 몫과 연산자의 연산 (0) | 2024.06.17 |
chapter 4)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 (0) | 2024.06.16 |
chapter 4) 대입, 덧셈, 뺄셈, 곱셈, 음수 연산 (1) | 2024.06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