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#include <stdio.h>
void fruit(int count);
int main(void){
fruit(1);
return 0;
}
void fruit(int count){
printf("apple\n");
if(count == 3) return ;
fruit(count + 1);
}
1. main() 함수
1-1. `fruit` 함수를 1을 인자로 하여 호출함
2. fruit 함수 정의
2-1. "apple"을 출력함
2-2. 매개변수 count가 3과 같으면 함수를 종료함. 이는 재귀 호출의 종료 조건임
2-3. count가 3이 아니면, `fruit` 함수 자신을 다시 호출하면서 count에 1을 더한 값을 인자로 전달함. 이로 인해 함수는 최대 3번 "apple"을 출력하고 종료됨
함수는 처음에 count가 1로 호출되고, 이후 재귀적으로 2, 그리고 마지막으로 3으로 호출되며, 각 호출마다 "apple"을 출력합니다. count가 3이 되었을 때 재귀 호출이 멈추므로, 총 3번 "apple"이 출력됩니다.
728x90
반응형
LIST
'개념 > 혼자 공부하는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8) 배열과 반복을 사용한 성적 처리 프로그램 (0) | 2024.07.15 |
---|---|
chapter 8) 빈칸을 포함한 문자열 입력 (1) | 2024.07.14 |
chapter 7) 재귀함수 호출 (0) | 2024.07.12 |
chapter 7) 3번 실행되는 재귀호출 함수 2 (0) | 2024.07.11 |
chapter 7)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 (0) | 2024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