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MALL

개념326

chapter 4) scanf() 연산자의 사용 예 #include int main(void){ int a = 10; double b = 3.3; printf("integer value ; %d\n", sizeof(a)); printf("double value : %d\n", sizeof(b)); printf("integer type float value : %d\n", sizeof(10)); printf("result equation : %d\n", sizeof(1.5 +3.4)); printf("char type value ; %d", sizeof(char)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정수형 변수 a를 선언하고 10의 값을 할당 1-2. double형 변수 b를 선언하고 3.3의 값을 할당 1-3. printf.. 2024. 6. 12.
chapter 3) unsigned를 잘못 사용한 경로 #include int main(void){ unsigned int a; a = 4294967295; printf("%d\n", a); a = -1; printf("%u\n", a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부호 없는 정수형 변수 a 설정 1-2. 변수 a에 4294967295라는 값을 할당 1-3. printf()문을 사용하여 변수 a의 값을 부호 있는 정수형으로 출력 (이는 부적절한 표현이며, 올바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%u를 사용해야 함) 1-4. 변수 a에 -1이라는 값을 할당 (부호 없는 정수형에서는 이 값이 최대값 4294967295로 해석됨) 1-5. printf()문을 사용하여 변수 a의 값을 부호 없는 정수형으로 출력, 이 때 올바른 최대값이 출.. 2024. 6. 11.
chapter 3) 문자의 문자열 입력 #include int main(void){ char grade, name[20]; printf("grade : "); scanf("%c", &grade); printf("name : "); scanf("%s", name); printf("%s grade -> %c\n", name, grade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문자형 변수 grade와 문자 배열 name[20] 설정 1-2. printf()문을 사용하여 "grade : "라는 문장 출력 후, scanf()문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한 문자를 입력받아 변수 grade에 저장 1-3. 이어서 "name : "라는 문장을 출력하고, scanf()문을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아 name 배열에 저장. .. 2024. 6. 10.
chapter 3) 변수의 선언과 사용 #include int main(void){ int a, b, c; double da; char ch; a = 10, b = a, c = a + 20, da = 3.5, ch = 'A'; printf("value a : %d\n", a); printf("value b : %d\n", b); printf("value c : %d\n", c); printf("value d : %.1lf\n", da); printf("value ch : %c\n", ch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정수형 변수 a, b, c와 실수형 변수 da, 그리고 문자형 변수 ch를 선언 1-2. a에 10을 할당, b에는 a의 값을 할당, c에는 a에 20을 더한 값을 할당, da에는 3.5를 .. 2024. 6. 9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