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MALL

programming389

chapter 2) 지수 형태의 실수 상수 #include int main(void){ printf("%.1lf\n", 1e6); printf("%.7lf\n", 3.14e-5); printf("%le\n",0.0000314); printf("%.2le\n",0.0000314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printf()문을 4번 사용하여 입력된 지수를 실수로 변환해줌 2. 반환문 (return) 출력 2024. 6. 3.
chapter 2 ) 제어 문자를 사용한 출력 #include int main(void){ printf("Be happy\n"); printf("1234567890\n"); printf("My\tfriend\n"); printf("Goot\bd\tchance\n"); printf("Cow\rW\a\n"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사용 1-1. printf() 문을 5번 사용함 1-1-1. \n : new line, \t : 띄어쓰기, \b : 문자 바꾸기 (t -> d), \r : 공백 생략, \a : 경보음 2. 반환문 (return) 작성 2024. 6. 2.
chapter 2) 정수와 실수의 출 #include int main(void){ printf("%d\n", 10); printf("%lf\n", 3.4); printf("%.1lf\n", 3.45); printf("%.10lf\n", 3.4); printf("%d +%d = %d\n", 10,20,10+20); printf("%.1lf-%.1lf = %.1lf\n", 3.4, 1.2, 3.4-1.2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함수 1-1. printf() 문을 6개 사용하여 각각 정수, 실수, 실수 첫째 자리까지, 실수 10번째 자리까지, 정수 + 정수 = 정수, 실수 첫째 자리 - 실수 첫째 자리 = 실수 첫째 자리 출력 2. 반환문 (return) 사용 2024. 6. 1.
chapter 2 ) 세 가지 진법의 정수 상수 #include int main(void){ printf("%d\n", 12); printf("%d\n", 014); printf("%d\n",0xc); return 0; } 코드 설명 1. main() 1-1. printf() 문을 3번 사용하여 10진수, 8진수, 16진수를 모두 10진수(12)로 변환한다. 2. 반환문 (return) 작 2024. 5. 31.
728x90
반응형
LIST